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이야기!!/주택 시장 전망 및 전세 대란 이야기

전세금 대느라 쓸돈없고…집값 떨어져 집주인도 지갑닫아

            [매일경제]      2013-08-07



전세금 대느라 쓸돈없고…집값 떨어져 집주인도 지갑닫아


                ◆ 하반기 경제암초 전세대란 ◆


             

               전세금 상승과 집값 하락이 하반기 우리 경제의 뒷덜미를 잡고 있다. 침체의 늪에서 
               우리 경제를 빼내 줄 가장 강력한 원동력인 민간소비가 전세금과 집값의 
               엇갈린 행보 속에 짓눌리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전세에서 월세로의 전환은 저소득층이 다수 분포하고 있는 임차인의 가처분 소득을
               줄이면서 소비 위축에 결정적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은 지난달 하반기 경제전망에서 질 전세가격(소비자물가를 반영한 전세금)이

            1% 높아질 때마다 단기적으로 0.37%, 장기적으로 0.18%만큼 소비가 줄어든다고 분석했다.

               사실 전세금이 오르더라도 임차인에서 임대인으로 전세금 상승분만큼의 돈이 이동한다는 

               점에서 국부 자체가 늘거나 줄진 않는다.

               하지만 소득이 낮을수록 소득에 비례해 소비를 늘리는 비중이 높기 때문에

               (한계소비성향이 높기 때문에) 경제 전체로는 소비 자체가 줄어드는 것이다.

               향후 1년간 전세금이 10% 오른다면 소비자물가를 반영한 

            국내 민간소비는 3.1%나 급감한다.

               국내총생산(GDP)이 1.64%나 줄어드는 효과다.

                집값 하락도 민간소비를 줄이고 있다. 

               자산가격이 오르면 그만큼 부자가 된 것 같은 느낌 때문에 소비를 늘리는데,

               이런 '부의 효과'가 반대로 나타나는 셈이다.

               한국은행은 물가 오름세를 웃도는 집값 상승률이 1% 높아질 때마다 소비가 0.06% 늘어나는

               것으로 보고 있다. 

                반대로 1년 새 집값이 5% 떨어지면 물가상승률을 반영한

             민간소비가 0.4%, GDP는 0.21% 감소한다.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을 한국은행이 2.8%, 기재부가 2.7%로 보고 있는 점에

             비춰보면 전세금 상승과 집값 하락의 경기 위축 효과는 상당하다.

                임근형 한국은행 조사국 과장은 "전세금 상승이 민간소비를 억누르는 효과가

                실증적으로 도출됐다"며 "특히 전세의 공급부족으로 전세가 월세로 전환되면

             임차인의 부담이 늘어나면서 소비가 더 급격히 줄어들 수 있다"고 분석했다.

                권주안 주택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전세금 상승은 소비 감소를 통해 내수경기

             침체로 이어지는데 이는 내수산업과 대기업 위주의 수출산업 간의 수익성 격차를

             더 벌려 소득재분배에도 악영향을 미친다"며 "전세보증금을 올려받은 집주인이라고

                하더라도 그 돈을 부채로 생각하기 때문에 소비를 늘릴 유인이 별로 없다"고 분석했다.


                전세의 씨가 마르면서 전세제도 자체가 사라질 것으로 보는 전문가들도 늘고 있다. 

                주거형태의 구조적 변화에 따른 경제효과를 심각하게 고민해야 한다는 의미다.

                손재영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지금처럼 집값이 안정되는 시기가 향후 5년만 

             지속되더라도 전세제도는 의외로 빨리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질 수 있다"며 

                "전세금의 지속적인 상승과 제도 자체의 소멸을 기조적 변화로 받아들이고 이에 대한 

                대비책을 세워야 한다"고 조언했다.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전세제도를 중심으로 한 우리의 주거금융제도는 

              지금 패러다임시프트(구조적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전의 실증분석을 뛰어넘는 엄청난 경제적 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전세금을 추가로 올릴 아파트 공급부족 현상은 점점 현실이 돼가고 있다. 

                 부동산포털 닥터아파트가 7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 하반기 수도권 입주물량이

                 3만가구에 미치지 못하면서 2000년 이후 최저 수준으로 조사됐다. 

                 가장 많았던 2010년 하반기에 비하면 60%나 줄어든 수치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전문위원은 "집주인들 입장에선 은행 대출을 받아 

                 전세보증금을 돌려줘서라도 월세로 바꾸길 원해 월세 공급은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전세금이 워낙 오르다 보니 세입자들도 안전하게 반전세를 택하기도 한다. 

                 강은현 EH경매연구소 소장 역시 "집이 경매에 들어가면 보통 80% 수준에 낙찰되기

                  때문에 예외적인 사례가 아닌 이상 자발적으로 반전세나 월세를 선택하는 경향도 

                  나타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전범주 기자 / 김제림 기자 / 사진 = 이승환 기자]


                    *  향후 1년간 전세값이 10% 오를 경우, 민간소비가 3.1%나 급감하며, GDP가 


              1.64%나 줄어드는 효과가 나타난다고 합니다.  거기에 더해 집값이 10% 더 하락


              한다면 민간소비는 0.8% 감소, GDP 는 0.42% 나 감소하여  둘을 합할 경우


              민간소비는 3.9%나 감소, GDP는 2.06%나 감소하는 결과를 보이게 됩니다. 



              올해 기재부 예측 국내 경제 성장률 2.7%를 감안하면 상당한 경제 위축을 불러 오는


              것이며,  여기에 더해 전세값이 너무 올라 반전세나 월세로 전환할 경우 소비를 더


              줄이게 되므로 민간소비와, GDP 감소는 더욱 가속화될 수 있습니다.


              위의 기사처럼 앞으로는 부동산 시장 전체의 '구조적인 변화'를 겪을 전망입니다.


              부동산 시장 전체의 변화 속에서 내 가계 자산을 지키는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는


              안목이 필요한 시기 입니다.



             - 권 형진 ( 상담 : 010-2351-2026, 02-554-3411, E-mail : sleri@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