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2013.08.08
현대硏 "韓식료품 소비자물가 상승률 OECD 3위"
최고 수준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백다미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원이 8일 내놓은 '식품 물가의 국제 비교' 보고서에 따르면
백다미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원이 8일 내놓은 '식품 물가의 국제 비교' 보고서에 따르면
식료품·비주류음료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1%로 OECD 29개국 중 3위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에 일본(2.5%), 프랑스(6.2%), 독일(7.2%), 영국(18.7%), 미국(8.2%) 등 주요 선진국의
같은 기간에 일본(2.5%), 프랑스(6.2%), 독일(7.2%), 영국(18.7%), 미국(8.2%) 등 주요 선진국의
식료품·비주류음료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모두 한국보다 낮았다.
특히 20.1%는 같은 기간 한국의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10.7%의 두 배에 달해 먹거리에
특히 20.1%는 같은 기간 한국의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10.7%의 두 배에 달해 먹거리에
민감한 저소득층의 체감물가를 상승시킨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의 식료품·비주류음료 소비자물가가 2007∼2010년 20.1% 상승하는 동안 농산품의
한국의 식료품·비주류음료 소비자물가가 2007∼2010년 20.1% 상승하는 동안 농산품의
생산자물가는 6.5% 상승하는 데 그쳤다.
두 부문의 격차 13.6%포인트는 OECD 29개국 중 4위다.
이처럼 식료품·비주류음료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원재료인 농산품 생산자물가 상승률보다
두 부문의 격차 13.6%포인트는 OECD 29개국 중 4위다.
이처럼 식료품·비주류음료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원재료인 농산품 생산자물가 상승률보다
훨씬 높은 것은 농산품의 물가 상승 수준이 확대돼 소비자에게 전가된 것으로 풀이된다.
백 연구원은 "물가 단속 같은 가격 통제 위주의 물가 관리 정책은 가격 인상 요인을
백 연구원은 "물가 단속 같은 가격 통제 위주의 물가 관리 정책은 가격 인상 요인을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없다"며 "통계 숫자 상의 지수를 관리하는 대신 시장 경쟁 촉진,
담합 규제 등으로 자연스럽게 물가가 안정될 수 있는 물가 결정시스템을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농산품 유통 구조상의 비효율성 개선과 소비자의 시장 감시 기능 강화를 통해
그는 이어 "농산품 유통 구조상의 비효율성 개선과 소비자의 시장 감시 기능 강화를 통해
농산품 물가가 소비자 가격에 과도하게 이전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ksw08@yna.co.kr
ksw08@yna.co.kr
'경제 이야기 > 삼성토지경제연구소의 경제 뉴스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조적 파괴 일으킬 8대 신산업 주목하라 (0) | 2013.08.08 |
---|---|
아이켄그린 교수 "하반기 세계경제 3각 파고 넘어야 회복세" (0) | 2013.08.08 |
[단독] 어느 로스쿨 女性 죽음 뒤의 '婚需갈등 그림자' (0) | 2013.08.08 |
내년 대체휴일제 도입..시민·공무원 '환영·기대' (0) | 2013.08.07 |
맥킨지가 꼽은 美경제 재도약 위한 5대 신성장 동력 (0) | 2013.08.07 |